검색어 "토지"에 대한 총 21건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 문화재
  • (총 21건)
[보물 2048]봉화 한수정 2019.12.30
... 현 위치에 한수정을 창건함. 이처럼 한수정의 창건은 석천 권래 뿐만 아니라 3대에 걸쳐 토지매입에서 창건까지의 역사를 지니고 있음. 한수정은 작은 공간에서도 초연대와 와룡연 그리고 주변에 조경수를 식재하여 정자로서의 많은 요소를 잘 간직하고 있음. 이렇게 물과 건물이 잘 조화를 ...
[유형문화재 462]포항 우각리 여주이씨 고택 2013.04.08
... 보여준다. 대문채는 솟을삼문으로 양쪽에 온돌방과 수장공간을 두었던 것으로 보인다. 토지대장에는 1895년 건립이라 하지만 종도리장여하부의 상량묵서에는 ‘상원갑태세정사윤이월...(上元甲太歲丁巳閏二月...)의 기록이 있어 철종 3년(1857) 건립으로 추정된다. 배치에서 각 영역이 잘 ...
[문화재자료 579]영주 신천리 월춘정 2010.10.28
... 수 있다. 해천잡초에 따르면 “월춘정중건시개기고유문”에 후손 윤수가 무인 이월에 토지신에 고유한 것으로 보아 월춘정의 중건은 1938년임을 알 수 있다. 1938년에 중건한 건물로, 건축적인 측면에서 볼 때는 별다른 특징을 ?아볼 수 없는 평범한 형태의 정자이다. 그러나 영주댐(송리원댐) ...
[보물 1594]청구도(2008-2) 2008.12.22
... 정보를 지도로 표현하면서 활용가치를 높이고자 하였다. 즉 모든 고을마다 호구수, 토지 면적, 군사의 총수, 세금으로 거두어들인 곡식의 총량, 한성까지의 거리 등을 기록하고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 있었던 곳에는 그 내용을 기록하였다. 이를 통해 『청구도』는 기존 전국지도 위에 중요 ...
[보물 1473]여주이씨 옥산문중 고문서 2006.07.18
... 입안(立案) 12점, 소지류(所志類) 7점, 분재기류(分財記類) 14점, 노비문기(奴婢文記) 18점, 토지문기(土地文記) 14점, 간찰(簡札) 1점 등 총 98건이다. 내용은 이언적의 관력(官歷)과 관련된 부분으로 특히 이언적의 학문적 위상을 고려하여 작성된 有旨를 비롯하여 세자시강원의 좌우부빈객을 역임할 ...
[유형문화재 346]영주 만취당 김개국 종중 소장 전적 및 책판 2003.04.14
... 필사원본류와 고문서는 유일본으로 역사 연구의 일차사료이며, 특히 상속·분재기·토지·노비 명문(明文), 소장(訴狀), 입안문기(立案文記), 호구단자(戶口單子) 등은 그 내용이 현실성, 구체성, 정확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해당시대의 사회 경제적 이면상(裏面像)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
[유형문화재 330]명종어필 소수서원 현판 2001.11.01
,,지정 : 유형문화재 330,,한자명 : 明宗御筆 紹修書院 懸板,,유형분류 :기록유산>서각류>목판각류>판목류,,시대 : 조선,,지정일 : 2001-11-01,,소재지 : 영주시,,설명 : 紹修書院은 中宗 38年(1543) 豊基郡守 周世鵬이 建立할 때는 白雲洞書院이었다. 後에 豊基郡守 李滉이 明宗 4年(1549) 12月에 書院의 運營과 ...
[문화재자료 402]의성 중율리 석불좌상 2001.04.30
,,지정 : 문화재자료 402,,한자명 : 義城 中栗里 石佛坐像,,유형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시대 : 고려,,지정일 : 2001-04-30,,소재지 : 의성군,,설명 : 本 石佛坐像은 中栗里 마을 가장자리에 位置한 숲 속의 작은 建物속에 安置되어 있다. 이 地域은 土地臺帳에 宗敎用地로 明示되어 있듯이 原來 이름 ...
[천연기념물 400]예천 금남리 황목근(팽나무) 1998.12.23
,,지정 : 천연기념물 400,,한자명 : 醴泉 琴南里 黃木根(팽나무),,유형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문화역사 기념물>민속,,시대 : 조선,,지정일 : 1998-12-23,,소재지 : 예천군,,설명 : 龍宮面 所在地에서 西南쪽 1km거리에 있는 금원平野에 位置한 금원마을로부터 約 200餘 미터 떨어진 논 한가운데 자라고 있 ...
[보물 1004-1]조정 종가 문적(1989) 1989.05.23
... 선조∼인조년간) 등 7종 7책이 있다. 분재기에는 조씨 가문에서 소유하고 있던 토지와 노비의 규모, 형성과정, 상속에 관한 내용이 실려있으며, 고문서나 분재기 등의 크기는 각각 다르다. 분재기는 당시 사회·경제사 연구에, 교지류는 인사행정제도의 연구에 각각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전적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