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정 : 유형문화재 547,,한자명 : 聞慶 金龍寺 養眞庵 神衆圖,,유형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기타,,시대 : 조선,,지정일 : 2019-10-21,,소재지 : 문경시,,설명 : 김룡사 양진암 신중도는 인법당에 봉안되어 있으며, 1880년(光緖6)에 19세기 후반 경북 일대에서 주로 활동한 하은 응상(霞隱應祥)을 수화승으로 경
,,지정 : 문화재자료 520,,한자명 : 尙州 退江聖堂,,유형분류 :유적_건조물>종교신앙>천주교>성당,,시대 : 근대/일제강점기,,지정일 : 2007-05-07,,소재지 : 상주시,,설명 : 퇴강성당(退江聖堂)은 조암산 자락 아래 낙동강 옛 퇴강(물미) 나루터 주변에 자리 잡고 있는 상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교당이다. 경북 북
경북 북부지방(안동추정)에서 소주 먹기를 즐겨하여 소주도(燒酎徒)라는 별명을 얻고 그때부터 직무를 태만하였다는 것이 있고, 그 후 소주가 유행하여 고려인으로 김공이란 사람이 친구의 독충을 소주로 고쳤다는 경험이 전해질 정도로 약용(藥用)으로까지 사용된 적이 있다. 지금도 안동소주의 양조
,,지정 : 사적 512,,한자명 : 慶州大陵園一圓,,유형분류 :유적_건조물>무덤>무덤>고분군,,시대 : 삼국,,지정일 : 2011-07-28,,소재지 : 경주시,,설명 : 경북 경주시에 있는 신라 시대의 고분군.
본래 사적 38호 경주노동리고분군(慶州路東里古墳群), 사적 39호 경주노서리고분군(慶州路西里古墳群), 사적 40호 경주
,,지정 : 기념물 53,,한자명 : 甄萱山城,,유형분류 :유적_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시설,,시대 : 삼국,,지정일 : 1984-12-19,,소재지 : 상주시,,설명 : 경북 상주시 장암리의 북쪽에 있는 장바위산 정상부를 에워 싼 테뫼식 산성으로, 견훤이 쌓았다해서 견훤산성이라 불린다. 이 산성 뿐만 아니라 상주지역의 옛
,,지정 : 문화재자료 228,,한자명 : 金泉 過夏泉,,유형분류 :유적_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주거시설,,시대 : 조선,,지정일 : 1990-08-07,,소재지 : 김천시,,설명 : 경북 김천에 있는 과하천은 조선 숙종 44년(1718)에 간행한 『금릉지』에 의하면 옛날부터 금이 나는 샘이 있어 금지천 즉, 김천이라 하여 이 샘물
,,지정 : 문화재자료 144,,한자명 : 黑鷹山城,,유형분류 :유적_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시설,,시대 : 선사 미상,,지정일 : 1985-08-05,,소재지 : 예천군,,설명 : 경북 예천에 있는 해발 100m의 흑응산 정상에 흙과 돌을 섞어 쌓은 산성으로, 내성과 외성 이중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성은 덕봉산성 또는 봉덕산성으
,,지정 : 보물 1272,,한자명 : 佛影寺 靈山會上圖,,유형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불도,,시대 : 조선,,지정일 : 1997-08-08,,소재지 : 울진군,,설명 : 경북도 - 이 靈山幀은 雍正 11年(1733) 作으로 18世紀以後 매우 盛行하여 남아 있는 作品가운데 比較的 이른 時期의 18世紀初 것이며 狀態도 매우 良好하다. 이 時期